漢醫學의 歷史
1. 上古 시대(춘추전국 ~ 한) - 유학의 관학화, 정치적, 학문적 안정 ⇒ 한의학의 학문적 체계화 ≪황제내경≫ _ 황제와 기백의 대화체 + 소문 : 일반적 원리 + 영추 : 침의 원리(일명 침경) * 음양오행, 천인합일, 사회 현상을 통한 해석 ≪본초경≫ _ 약효, 원리 * 신농씨 - 약리학서 + ≪상한론≫(장중경) - 육경 이론, 최초의 임상 전문서 → 황한의학(일본) + ≪금궤요략≫(장중경) - 잡병 치료 원리 [한의학의 사대 성전] - 한대 : 황제내경, 본초경, 상한론, 금궤요략 ≪맥경≫(진, 왕숙화) - 맥진법(서양 : 맥동/동양 : 맥상) ≪침구갑을경≫(진, 황보밀) ≪제병원후론≫(수, 소원방) - 병원, 증후를 기술, 병리학 서적 ≪천금요방≫(당, 손사막) ≪태평성혜방≫, ≪성제총록≫,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