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 39

漢醫學의 歷史

1. 上古 시대(춘추전국 ~ 한) - 유학의 관학화, 정치적, 학문적 안정 ⇒ 한의학의 학문적 체계화 ≪황제내경≫ _ 황제와 기백의 대화체 + 소문 : 일반적 원리 + 영추 : 침의 원리(일명 침경) * 음양오행, 천인합일, 사회 현상을 통한 해석 ≪본초경≫ _ 약효, 원리 * 신농씨 - 약리학서 + ≪상한론≫(장중경) - 육경 이론, 최초의 임상 전문서 → 황한의학(일본) + ≪금궤요략≫(장중경) - 잡병 치료 원리 [한의학의 사대 성전] - 한대 : 황제내경, 본초경, 상한론, 금궤요략 ≪맥경≫(진, 왕숙화) - 맥진법(서양 : 맥동/동양 : 맥상) ≪침구갑을경≫(진, 황보밀) ≪제병원후론≫(수, 소원방) - 병원, 증후를 기술, 병리학 서적 ≪천금요방≫(당, 손사막) ≪태평성혜방≫, ≪성제총록≫, ..

낙서장 2017.11.19

한(漢)의학 VS 한(韓)의학

.1. 한(漢)의학 서적 (1) 황제내경(黃帝內經) (2) 상한잡병론(傷寒雜病論) (3) 황제침구갑을경(黃帝鍼灸甲乙經) (4) 본초강목(本草綱目) [1] 황제내경(黃帝內經) 「황제내경」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의학 저작으로서 줄여서 「내경」이라고 부르기도 한다. 2천여 년의 한의학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그 지도적 이론은 지금까지도 유효하다. 그래서 수많은 주석서들이 지금도 간행되고 있으며, 한의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의 필독서라고 할 수 있다. 만들어진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들이 있으나 전국시대라는 의견이 가장 우세하다. 「내경」은 어느 한 시대, 한 사람의 손으로 완성된 것이 아니라 수 많은 연대에 걸쳐 수 많은 의가(醫家)들이 경험하고 깨닫고 이론화한 것들을 개괄, 종합한 것이라고..

낙서장 2017.11.19